ch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글자를 출력할 때는 System.out.print()을 사용한다. 괄호() 안에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을 넣으면 된다.
System.out.print()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System.out.println()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한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Hello, world");
System.out.print("Hello");
}
}
ch2. 덧셈 뺄셈 계산하기
사칙연산( +, -, *, / )이 포함된 식(expression)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5 + 3);
System.out.println(5 - 3);
System.out.println(5 * 3);
System.out.println(5 / 3);
}
}
ch3. 변수의 선언과 저장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저장공간, 즉 변수가 필요하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ex) int x;
변수는 오직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값이 저장된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지워지고 새로 저장된 값만 남는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x = 5;
System.out.println(x);
x = 10;
System.out.println(x);
}
}
ch4. 변수의 타입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저장할 값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야한다. 변수의 타입은 참조형과 8개의 기본형이 있다.
숫자
int, long : 정수(integer)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20억이 넘을 땐 long)
float, double :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문자
char :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문자(1개)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은 char로 한다.
String : 여러 문자(문자열, string)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 여러 문자( 0 ~ n개)를 저장할 변수의 타입은 String으로 한다.
ch5. 상수와 리터럴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며, 단지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final int MAX_SPEED = 10;
변수(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상수(constant) : 값을 한번만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리터럴(literal)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ch6. 리터럴의 타입과 접미사
변수에 타입이 있는 것처럼 리터럴에도 타입이 있다. 변수의 타입은 저장될 '값의 타입(리터럴의 타입)'에 의해 결정되므로, 만일 리터럴에 타입이 없다면 변수의 타입도 필요없을 것이다.
float 타입 리터럴에는 'f'를, double타입 리터럴에는 'd'를 붙인다. 정수형에서는 int가 기본 자료형인 것처럼 실수형에서는 double이 기본 자료형이라서 접미사 'd'는 생략이 가능하다. 접미사 f와 L 두 개는 꼭 기억하자
ch7. 문자 리터럴과 문자열 리터럴
'A'와 같이 작은따옴표로 문자 하나를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한다. 두 문자 이상은 큰 따옴표로 감싸야 하며 '문자열 리터럴'이라고 한다. (문자열은 '문자의 연속된 나열'이라는 뜻이며, 영어로 'string'이라고 한다.)
char타입의 변수는 단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여러 문자(문자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String타입을 사용해야 한다.
문자열 리터럴은 ""안에 아무런 문자도 넣지 않는 것을 허용하며, 이를 빈 문자열(empty string)이라고 한다. 그러나 문자 리터럴은 반드시 ''안에 하나의 문자가 있어야 한다.
ch8. 문자열 결합
덧셈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모두 숫자일 때는 두 수를 더하지만, 피연산자 중 어느 한 쪽이 String이면 나머지 한 쪽을 먼저 String으로 변환한 다음 두 String을 결합한다.
문자열 + any type ->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
any type +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
그리고 숫자 7을 문자열 "7"로 변환할 때는 아무런 내용도 없는 빈 문자열("")을 더해주면 된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 7 + 7 );
System.out.println( 7 + "7");
}
}
ch9. 두 변수의 값 바꾸기
두 변수에 저장 된 값을 바꾸려면 값을 임시로 저장할 변수가 하나 더 추가해준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x = 10;
int y = 5;
int tmp = x;
x = y;
y = tmp;
System.out.println(x);
System.out.println(y);
}
}
'자바의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 - 객체지향 언어(2) (0) | 2023.09.21 |
---|---|
자바(Java) - 객체지향 언어(1) (0) | 2023.09.20 |
자바(Java) - 배열(Array)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