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Java) 4

자바(Java)(3) - 연산자, if, else if, else 문

기본 연산자 사칙(산술)연산자,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사칙연산자 +, -, *, /(나눈 몫), %(나눈 나머지)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0 + 10); System.out.println(30 - 15); System.out.println(30 * 10); System.out.println(10 / 3); // 정수와 정수 연산은 결과값이 정수 System.out.println(10 / 3.0); // 정수와 실수 연산은 결과값이 실수다. System.out.println(10 % 3); } } 비교연산자 : true, false >=, > , 3); System.out.println(10 = 3..

자바(Java) 2023.09.17

자바(Java)(2) -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이 존재하는 이유는 코드를 작성하면 메모리에 저장된다. 하지만 메모리는 유한하기 때문에 코드를 쓸 때마다 메모리가 확보된다. 메모리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최적화시켜야한다. (자바에는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으나 C언어를 할 때는 메모리 신경을 써야한다.) 데이터 타입이 뭐냐에 따라서 처리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달라진다 컴퓨터는 1과 0 이진수만 인식한다. Byte : 1Byte = > 8bit => 2의 8제곱 256 -> -128 ~ 127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데이터 타입 : 숫자형, 문장형 // 숫자형 : 정수형, 실수형 System.out.println("== 정수형 데이터 타입 =="); // byte, s..

자바(Java) 2023.09.16

자바(Java)(1) - 변수

기본이 튼튼해야 심화를 나갈 수 있고 응용도 할 수 있다.!!! 기본 : 변수, 조건문, 반복문, 함수 등 특징 : 클래스, 객체, 상속, 인터페이스, 람다 스트림 등 자바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 프로그램을 다수의 객체로 만들고, 이들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기본 코드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print -> 출력 println -> ln : 라인을 의미 -> 한줄 띄워진다. sout 자동 완성 -> System.out.println ; -> 문장에 끝을 말함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 -> 문자형, 숫자형 "" -> 큰 따..

자바(Java) 2023.09.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