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 연산자
사칙(산술)연산자,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
사칙연산자
+, -, *, /(나눈 몫), %(나눈 나머지)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0 + 10);
System.out.println(30 - 15);
System.out.println(30 * 10);
System.out.println(10 / 3); // 정수와 정수 연산은 결과값이 정수
System.out.println(10 / 3.0); // 정수와 실수 연산은 결과값이 실수다.
System.out.println(10 % 3);
}
}
비교연산자 : true, false
>=, > , <=, <, ==, !=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0 >= 3);
System.out.println(10 > 3);
System.out.println(10 <= 3);
System.out.println(10 < 3);
System.out.println(10 == 10);
System.out.println(10 != 10);
}
}
논리연산자 : &&(and), ||(or)
&& : 양쪽의 비교한 결과 값이 둘다 true이면 true이다.
- 양쪽의 비교한 결과 값 중 하나라도 false면 false이다.
|| : 양쪽의 비교한 겨로가 값이 둘다 false이면 false이다.
- 양쪽의 비교한 결과 값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이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0 >= 3 && 5 > 1);
System.out.println(10 <= 3 && 5 > 1);
System.out.println(10 < 3 || 5 != 5);
System.out.println(10 > 3 || 5 != 5 );
}
}
프로그램은 위에서 아래로 진행한다.
제어문
- 조건문
- 반복문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5;
int age_grade = -1;
if(age < 10){
age_grade = 0;
}
if(age >= 10 && age < 20){
age_grade = 10;
}
if(age_grade == -1){
System.out.println("40대 이상입니다.");
}
else if(age_grade == 0){
System.out.println("10세 미만 아동입니다");
}
else{
System.out.println(age_grade + "대 입니다.");
}
}
}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20 > 2 && 10 > 3 && true != false && 10 !=10){
System.out.println("");
}
if(10 != 10 || 10 < 2){
System.out.println("");
}
}
}
연산자 우선순위
산술연산자 > 비교연산자 > 논리연산자
// 두 정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왼쪽 수가 크면 left를 출력
// 오른쪽 수가 크면 right를 출력, 같으면 equal을 출력해주세요.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left = 30;
int right = 40;
if(left > right){
System.out.println("left");
} else if(left < right){
System.out.println("right");
} else {
System.out.println("equal");
}
}
}
// 문제 : 할인 대상인지 아닌지 출력해주세요.
// 조건 : 나이가 19세 이하이거나 60세 이상이면 할인 대상입니다.
// 조건 : 출력예시 처럼 출력되어야 합니다.
// 조건 : '구현시작'부분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20; // 이 값을 바꿔가면서 실행해보세요.
System.out.println("당신의 나이는" + age + "살 입니다.");
// 구현시작
// if( age <= 19){
// System.out.println("할인대상입니다.");
// } else if (age >= 60){
// System.out.println("할인대상입니다.");
// } else {
// System.out.println("할인 대상이 아닙니다.");
// }
// if(age <= 19 || age >= 60){
// System.out.println("할인대상입니다.");
// }
//
// if(age > 19 && age < 60){
// System.out.println("할인 대상이 아닙니다.");
// }
// if(age <= 19 || age >= 60) {
// System.out.println("할인대상입니다.");
// }
// else {
// System.out.println("할인 대상이 아닙니다.");
// }
// 출력 => 할인대상입니다. 또는 할인 대상이 아닙니다.
}
}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조건문
// switcj
int month = 4;
String season;
if(month != 3) {
season = "4";
}
System.out.println(season);
}
}
// java: variable season might not have been initialized
// 변수 초기화는 빈값이라도 넣어줘야한다.
String season = "";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조건문
// switch
int month = 4;
String season = "";
switch ( month ) {
case 1:
case 2:
season = "겨울";
break;
case 3:
case 4:
case 5:
season = "봄";
break;
case 6:
case 7:
case 8:
season = "여름";
break;
case 9:
case 10:
case 11:
season = "가을";
break;
default:
season = "겨울";
break;
}
System.out.println(season);
}
}
728x90
'자바(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4) - 반복문 while (0) | 2023.09.17 |
---|---|
자바(Java)(2) - 데이터 타입 (0) | 2023.09.16 |
자바(Java)(1) - 변수 (0)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