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리눅스(Linux) Telnet 세팅 및 명령어 (7)

백코딩 2023. 12. 18. 07:29
728x90

 

Telnet이란?

원격 접속 서비스로서 특정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Telnet(텔넷)을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처럼 파일 전송, 파일 생성, 디렉토리 생서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단, 보안 문제로 사용률이 감소하고 원격 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되는 추세

 

텔넷과 SSH의 차이점은 로그인, 프로그램 실행, 하드디스크 체크, 로그아웃 등 작업들을 하기 위해 사용자와 서버간의 통신 방법의 차이입니다.

 

여기서 텔넷은 정보를 byte스트림형식으로 주고 받고, ssh는 DES, RSA 등 고급 암호화를 통해 통신을 합니다. 그러므로 텔넷 환경에서는 정보 노출 위험이 큽니다.

 

SSH는 암호화 뿐만 아니라 압축 기술도 사용하는데, 암호화 때문에 트래픽이 텔넷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단지 약간의 부하가 더 생길수도 있다고 합니다.

 

다음 파트에서는 SSH로 설정해보겠습니다.

 

Telnet 설치과정

1. telnet server 설치 여부 확인

rpm -qa | grep telnet

 

2. telnet server 설치

yum -y install telnet-server

 

 

3. telnet server 설치 여부 다시 확인

rpm -qa | grep telnet

 

 

4. telnet 서버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5. telnet server 실행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6. telnet port 방화벽 허용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tct
firewall-cmd --reload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tct  => 방화벽에서 해당 port 오픈
  • firewall-cmd --reload => 방화벽 설정 적용

 

7. 시스템 재부팅시 자동으로 telnet server 실행하게 설정

systemctl enable telnet.socket
  • systemctl enable telnet.socket => 재기동시 telnet 서버 자동 시작 설정

 

8. 클라이언트에서 텔넷접속 확인

 

telnet은 처음에 일반 사용자로 들어가야 합니다.(설정을 해주면 root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만약 윈도우에서 처음 한다면 윈도우에서 세팅을 해줘야 합니다.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에 들어가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들어가면 telnet client라고 있습니다. 그것을 설정해주면 됩니다.

728x90